Infra/Docker 3

도커 컨테이너 다루기

도커 컨테이너의 생애주기도커 컨테이너는 실행 중, 정지, 파기 3가지 상태를 갖는다. 실행 중 상태docker container run 명령으로 Dockerfile에 포함된 인스트럭션에 정의된 애플리케이션(컨테이너)을 최초 실행한 시점의 상태는 실행 중이다.실행이 끝나면 정지 상태가 된다. 정지 상태컨테이너를 정지시키면 디스크에 종료 시점의 상태가 저장돼 남는다.그러므로 정지시킨 컨테이너를 다시 실행할 수 있다. 파기 상태정지 상태의 컨테이너는 파기하지 않는 이상 디스크에 그대로 남아있다.컨테이너를 자주 생성하고 정지해야 한다면 디스크를 차지하는 용량이 늘어나므로 불필요한 컨테이너를 파기하는 것이 좋다.다만 한 번 파기한 컨테이너는 다시 실행할 수 없다. docker container run - 컨테이너..

Infra/Docker 2024.12.07

도커 이미지 다루기

도커 명령은 크게 이미지에 대한 명령과 컨테이너에 대한 명령 두가지로 나뉜다. 도커 이미지 다루기도커 이미지는 빌드할 때마다 다시 생성되는데, 내용의 해시값을 이미지 ID로 삼기 때문에 내용이 바뀌면 이미지 ID도 새 값이 부여된다. 도움말옵션에 대한 도움말docker help이미지 하위 옵션에 대한 도움말docker image --help docker image build - 이미지 빌드docker image build는 Dockerfile에 기술된 구성을 따라 도커 이미지를 생성하는 명령이다.docker image build -t 이미지명[:태그명] Dockerfile의_경로-t 옵션은 이미지명과 태그명을 붙이는 것으로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Dockerfile이 현재 작업 디렉터리에 있다면..

Infra/Docker 2024.12.07

컨테이너로 애플리케이션 실행하기

컨테이너로 애플리케이션 실행하기image 받아오기docker image pull 이미지명[:태그명] // ex) docker image pull gihyodocker/echo:latest컨테이너 실행컨테이너 실행을 하려면 docker에 이미지가 존재해야한다.예시는 -p [호스트포트:컨테이너포트]를 통해 포트포워딩을 수행한다.docker container run [옵션] 이미지명 [:태그명] // ex) docker container run -t -p 9000:8080 gihyodocker/echo:latest -d 옵션을 붙여 백그라운드로 컨테이너를 실행할 수도 있다.네트워크 주소 접근curl http://localhost:9000/컨테이너 정지docker stop 컨테이너명컨테이너 삭제컨테이너를 삭제하..

Infra/Docker 2024.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