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9

TLP(Transport Layer Protocol) - 2.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IP의 단점데이터 전달이 제대로 안 이루어질 수 있다.데이터를 보내기만 하고 잘 전달됐는지 확인할 수 없다.라우팅 과정에 패킷이 버려질 수 있다.framing이 제대로 안 이루어져 데이터가 손상될 수 있다.이러한 단점들을 보안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토콜이 TCP이다.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TCP는 Connection-Oriented 커넥션 지향 프로토콜이다. 즉, 어플리케이션 소통이 끝날 때까지 커넥션이 꺼지지 않는다.TCP는 데이터가 잘 전달됐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제대로 전달이 안됐을 시 다시 보낸다. TCP는 IP 패킷 내부에 존재한다. 3 way 핸드쉐이크 과정 (TCP 연결 과정)1. (클라이언트 → 서버)Flag가 SYN(Syncronize)인 TCP를..

네트워크 2024.07.19

TLP(Transport Layer Protocol) - 1. 프로토콜과 포트

프로토콜프로토콜이란?인간들이 소통하기 위해 사회적으로 언어라는 규약을 지키고 있는 것처럼 컴퓨터도 컴퓨터간 소통을 하려면 규약을 지켜야 한다. 이러한 규약을 프로토콜이라 한다.  포트  대부분의 컴퓨터에서는 여러 개의 프로그램이 동시에 실행되고 있어서,이 여러개의 프로그램 중 어느 프로그램이 내가 접속하려는 프로그램인지 컴퓨터에게 알려 주어야 한다.여기서 포트 번호는 어떤 프로그램에 접속 할 것인지 컴퓨터에게 알려준다.    개발자가 자주 접하는 포트 넘버  포트 번호 규칙은 다음과 같이 알려져 있다.

네트워크 2024.07.18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네트워크가 작다면 직접 설계해도 괜찮지만, 크기가 크다면 DHCP를 사용하자.우리가 주로 사용하는 네트워크에서는 공유기에 DHCP 서버가 들어있다.  1. DHCP 서버를 찾는다.새로 연결된 디바이스에서 DHCP서버 Mac주소를 모르므로 스위치를 통해 브로드캐스트 Mac주소, 브로드캐스트 IP주소, Ethernet 프레임으로 스위치에 연결되어있는 모든 디바이스에 DCHP 메세지를 보낸다.  2. DHCP 제안DHCP가 응답을 똑같이 브로드캐스트로 보냄. 사용가능한 IP 주소를 보낸다.  3. DHCP 응답사용 여부 전달  4. DHCP 해당 IP주소를 사용할 때 필요한 정보들을 전달   DHCP 메세지Ethernet FrameIP PacketUDP SegmentDHCP Message이런 구조로 이루어져 ..

네트워크 2024.07.16

Private IP vs Public IP

IPv4의 IP 주소는 1990년대에 이미 바닥나기 시작했다.총 4바이트, 2^32개의 IP 주소를 가질 수 있다. (약 43억개)그래서 나타난 것이 Private IP.Public IP 공인 주소Private IP 사설 주소등록 O등록 X인터넷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누구나 사용가능전세계 유일 IP 주소중복 IP 가능위치정보 有위치정보 無라우팅 가능라우팅 불가  Private IPClassIP Address RangeNetwork IDsNumber of AddressesA10.0.0.0 ~ 10.255.255.25510.0.0.0/816,777,216B172.16.0.0 ~ 172.31.255.255172.16.0.0 ~ 172.31.0.0/1665,534C192.168.0.0 ~ 192.168.255.2..

네트워크 2024.07.16

Internet Protocol - IPv4

IPv4전세계적으로 사용된 첫번째 인터넷 프로토콜.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컴퓨터 또는 기기가 인터넷에 연결될 때 고유하게 할당되는 식별자이다.약 43억개의 유한한 자원으로 고갈을 대비하여 IPv6로 전환 중에 있다. 0~255의 범위로 x.x.x.x 4자리를 나타낼 수 있고, 이는 2진수로 변환하면 00000000~11111111이다.2^8, 즉 한 자리당 1byte라는 뜻이다. IP 주소는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으로 나뉜다.네트워크 부분은 어떤 네트워크인지 식별,호스트 부분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있는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다.  첫번째 숫자로 클래스를 가늠할 수 있다.첫번째 숫자 127 / 127.0.0.0 ~ 127.255.255.255 는 로컬 호스트 주소이다.   IPv4 Address Sub..

네트워크 2024.07.16

패킷과 라우팅

패킷LAN을 넘어서 WAN에서 통신하려면 IP주소가 필요하다.하지만 기존의 프레임은 IP주소를 나타내지 않았다.여기서 필요한 것이 IP 패킷이다.  패킷의 자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프레임의 예시  라우팅1. LAN -> WAN : WAN에서는 Mac주소가 필요없으므로 프레임에서 패킷 부분만 전송하게 된다.2. 라우터에서 라우터로 패킷이 전송되는 것을 라우팅이라 한다.3. WAN -> LAN : LAN에서는 다시 Mac 주소가 필요하므로 패킷을 프레임으로 감싸주게 된다.  1. LAN -> WAN(라우터)LAN에서의 통신을 배울 때 목적지 Mac 주소와 소스 Mac 주소를 가지고 있어야 프레임을 만들어 보낼 수 있었다.하지만 LAN에서 라우터로 프레임을 보내고 싶을 때 우린 라우터의 Mac 주소를 모른..

네트워크 2024.07.12

허브, 스위치, 라우터

허브LAN(Local Area Network)에서 통신 케이블을 연결시켜주는 장치이다. 하지만 허브에는 2가지 문제점이 있다.1. 정보가 모든 컴퓨터에 전달된다.2. 양쪽에서 정보를 보냈을 때 정보 충돌이 일어난다. 이 두가지에 대한 해결책1. 어디에서 어디로 보낸다는 프레임을 보낸다.문제점 : 여전히 다른 컴퓨터에 데이터가 전달됨2. 더미정보를 보내서 충돌여부를 통해 LAN이 통신중인지 확인한다.문제점 : 비효율적임 이 두가지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것이 스위치이다.  스위치스위치는 허브의 문제점을 해결해준다.1. 스위치에서 보내야하는 컴퓨터로 직접 전달해준다.2.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다받는 케이블, 주는 케이블이 따로따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라우터LAN 내에서 통신 외에 바깥 세상과 통신하고 싶다면 ..

네트워크 2024.07.12

프레임

프레임이란? LAN 상에서 네트워크 통신하고 싶을 때 보내는 데이터 전송 단위 내부에는 어디에서 어디로 보내는지 Mac 주소와 데이터가 들어있다.  자세하게 들어가면PREAMBLE : 보내는 속도와 받는 속도를 맞춰준다(bit synchronization)SFD(Start of Frame Delimiter) : 여기서부터 정보가 시작된다 를 알려줌목적지 주소 : 6byte소스 주소 : 6byteLENGTH : Ethernet 총 길이를 의미DATA : 45~1500byteCRC : DATA를 전부 받았는지 check 해주는 것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 포스트는 크래프트맨 멘탈리티 채널의 네트워크 기초 무료 강의 | 새내기 개발자들을 위한 필수 가이드를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네트워크 2024.07.12

Mac 주소란 무엇일까

컴퓨터를 좀 만지다보면 IP 주소나 Mac 주소라는 것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건 대체 뭘까?이번 포스트에서는 Mac주소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정의Mac주소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에 각인된 물리적 주소라고 한다.쉽게 말해 컴퓨터들끼리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할 때 어디로부터 어디로 보낼 것인지 이런 주소값이 필요한데 Mac 주소가 바로 이런 것이다.  구조6byte(48bits)fe:1b:63:84:45:e6앞 세 문자열은 IEEE가 기업이나 단체에 할당해주는 주소이고뒤 세 문자열은 차례대로 기업이나 단체에서 기기에 할당해주는 주소이다.   문자열은 16진수인데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이런 순서대로 숫자를 셀 수 있다.위의 예시에서 f..

네트워크 2024.07.11